인간과 우주의 리듬: 25,920
인간과 우주의 리듬: 25,920
학교에서 우리는 리듬 있는 삶에 대해 많이 이야기합니다. 이는 학생들 뿐 아니라 교사, 부모 모두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일 것입니다. 좀 더 확장하자면 리듬은 우주 안에 존재하는 모든 동물, 식물, 광물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영향은 직접적, 간접적일 수도 있고, 여성의 월경처럼 이미 내면화 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리듬은 우주적 리듬(움직임)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가깝게는 내 몸의 리듬, 그리고 점차 지구, 달, 행성, 태양, 천체의 리듬과도 연결됩니다. 여기서는 인간 내의 리듬적인 요소인 호흡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리듬은 흥미롭게 우리에게 숫자 25,920를 통해 드러납니다.
인간은 안으로 들이마시고 바깥으로 내뱉는 호흡을 합니다. 물론 호흡 수와 양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그리고 개인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물론 수련 등의 목적으로 임의 조절할 수도 있겠지만 대략적으로 성인의 경우 1분에 약 18번 정도 들숨과 날숨의 호흡을 합니다. 한 시간이면 60을 곱해서 1080번이 되고 하루 24시간으로 따지면 우리는 하루에 25,920번 정도 호흡을 하는 것이 됩니다 (18 Χ 60 Χ 24 = 25,920). 하루에도 리듬이 있습니다. 지구는 비스듬한 축을 기준으로 스스로 한 바퀴를 돕니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에 우리는 밝은 낮(깸)과 어두운 밤(잠)이라는 하루 지구의 리듬을 경험하고, 이는 오래 전부터 인간의 하루 리듬이 되었습니다. 물론 현대의 인간은 이를 모두 따르지 않고 기술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임의적으로 조절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지구는 자전도 하지만 공전도 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다 돌면 일 년이 됩니다. 우리는 자전 축을 기준으로 살짝 옆으로 기울어진 지구의 공전과 태양의 관계 안에서 위도에 따른 사계절을 즐기게 되고 이에 따른 다양한 축제를 가지게 됩니다(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그리고 계절에 따른 지구와 인간의 수축과 팽창의 리듬도 느끼게 됩니다.
위에서 언급되는 숫자 25, 920은 대년(大年, Cosmic year, Platonic year)을 지구의 시간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대년이란 지구의 자전 축이 세차운동(precession)을 통해 천구의 별자리를 기준으로 한 번의 회전 운동을 완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지구의 자전 축은 태양과 달의 인력에 의해 세차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마치 손으로 팽이를 돌리면 꼭지 끝이 둥근 원을 그리는 것과 같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역으로 이 숫자를 거꾸로 환산해보는 것입니다. 대년을 일 년으로 보고 12로 나누면 우리는 2,160, 즉 대월(大月, Cosmic month, Platonic month)을 얻게 됩니다. 춘분점이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이 대략 2160년입니다. 즉 세차운동을 하면서 별자리 하나를 지나가는 주기가 2160년입니다. 우리는 이전 황소자리(BC2907 ~ AD1413)에 있다가 양자리(BC747~ AD1413)로 옮겨왔고, 현재 우리는 물고기자리 (AD1413~3573)에 있고 미래에는 물병자리(AD3573 ~ 5733)로 넘어갑니다. 좀 더 자세히 본다면 각 시기 별로 큰 획을 긋는 큰 사건들도 발견하게 됩니다.
오래 전부터 우리는 인간의 몸을 12개 별자리로 표현해왔습니다. 태양계가 처음 만들어지는 고대 토성기부터 우리 신체는 열 두 별자리의 영향을 받았고, 우리 인간의 장기 역시 태양계 내 행성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신체부위 | 우리말 | 라틴어 | 영어 |
머리 | 양자리 | Aries | Ram |
목 | 황소자리 | Taurus | Bull |
팔 | 쌍둥이자리 | Gemini | Twins |
가슴 | 게자리 | Cancer | Crab |
심장 | 사자자리 | Leo | Lion |
배 | 처녀자리 | Virgo | Virgin |
엉덩이 | 천칭자리 | Libra | Scales |
생식기 | 전갈자리 | Scorpio | Scorpion |
허벅다리 | 궁수자리 | Sagittarius | Archer |
무릅 | 염소자리 | Capricon | Sea Goat |
종아리 | 물병자리 | Aquarius | Waterman |
발 | 물고기자리 | Aquarius | Fishes |
황도 12궁에서 하나의 별자리가 차지하는 도수는 대략 30도입니다. 당연히 360도 원을 12개 별자리로 나누니 30도입니다. 30도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2160년이라면 1도를 움직이는 데 72년이 걸립니다. 72년은 인간의 평균 수명이기도 하고, 성인의 평균 맥박이기도 합니다. 정리하자면, 우리는 하루에 25,920번 호흡을 하고, 일생 동안 25,920날을 삽니다. (고대 바빌론 시대에는 일 년이 360일). 수명은 72년입니다. 달리 보자면, 대년은 25,920년, 대월은2,160년, 대일(大日, Cosmic Day, Sun day, Platonic day)은 72년이 됩니다. 우리의 72년은 우주에서의 하루 쯤 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삶과 죽음이라는 또 다른 큰 리듬이 있습니다. 우주 전체로 봐서는 단지 1도 정도로 미미할지라도 지상적 삶을 영위하는 우리 개별 인간에게는 72년이 걸리는 작지 않은 리듬으로 다가옵니다. 이렇게 1도를 움직이면서 같은 별의 (혹은 다음 별자리의) 다른 지점으로 옮겨가면 그 자리에 속했던 우리 개별의 운명도 이제는 자유로워집니다...... 지상에서의 삶, 죽음 이후의 삶, 그리고 다시 육화하는 지상의 삶으로 반복되면 각각을 하나의 커다란 우주적 숨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더 크게 보자면 태양계 내 행성들의 발전 단계에서의 만반타라(manvantaras)와 프렐라야(pralayas)의 순환하는 리듬을 이야기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
An Introduction to Anthroposophical Medicine: Extending the Art of Healing by Victor Bott
An Introduction to His Spiritual World-view, Anthroposophy by Roy Wilkinson
The Human Soul and the Universe by Rudolf Steiner (Schmidt Number: S-3344, GA 175)